본문 바로가기
  • 컴공생의 공부 일기
  • 공부보단 일기에 가까운 것 같은
  • 블로그

hamstersAreCute1255

🧁스프링 부트 개념강의🧁 구름 강의 "스프링 부트 개념 정리" 끝내기 - 1.2주 목표 실패! 1일차 스프링의 핵심은? 스프링은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 = 자바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 정해진 틀 안에서 동작 스프링은 오픈소스이다 오픈 소스 = 공개된 소스(무료) 내부를 뜯어고칠 수 있음 (기여) 스프링은 IOC 컨테이너를 가진다. Inverd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주도권이 스프링에게 class -> 설계도 object -> 실체화가 가능한 것 Instance -> 실체화 된 것 스프링은 DI를 지원한다. 싱글톤 관리 ? 필터란 무엇일까요?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필터를 가지고 있다. 필터 : 문지기 권한 확인 후 걸러내기 스프링은 엄청나게 많은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다. 주석 (컴파일러가 무시함) 어노테이션.. 2023. 1. 30.
📙미움받을 용기2 - 기시미이치로.고가후미타케 (23.1.후반) 무지/정의(선악) 우리는 그 대상에 대해 '알고 있다'라고 생각하는 순간, 더 이상 추구하려고 하지 않아.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알고 있다' - 소크라테스 도덕의 기준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네. 도덕만을 지침 삼아 타인을 판단라는 것은 굉장히 위험해 선악, 어설픈 '정의'를 내세우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는 걸세. 정의로움에 취한 사람은 자기 이외의 가치관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끝내는 '정의란 이름의 개입'에 나서네. 그러한 개입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회색 빛깔의 획일적인 사회겠지. '내가 틀릴 수도 있다'라는 생각 가지기. 함부로 정의 추구하지 말기 함부로 정의 내리지 말고 계속 생각하고 공부하기 교육 문제행동의 5단계 칭찬 요구-> 주목 끌기 -> 권력투쟁.. 2023. 1. 28.
🧚‍♂️알고리즘🧚‍♂️ - 완전탐색 - 깊이 우선 탐색(DFS) 깊이 우선 탐색(DFS)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최대 깊이까지)하는 방법 - 재귀 함수 이용 - 스택 자료구조 이용 ->후입선출 특성 필요 -노드 방문 여부를 체크할 리스트 필요 인접 리스트로 그래프 표현 ->방문리스트 초기화->시작노드 스택에 삽입->대상 노드의 인접 노드 스택 삽입->스택에 값이 없을 때까지 반복 단절점 찾기, 단절선 찾기, 사이클 찾기, 위상 정렬 등에 이용 🥈실버 2 11724 연결요소의 개수 구하기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 (1 ≤ N ≤ 1,000, 0 ≤ M ≤ N×(N-1)/2)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 2023. 1. 27.
📕미움받을 용기1 - 기시미이치로.고가후미타케 (23.1.후반) 트라우마의 존재 부정 / 목적론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순수한 의미에서 악, 즉 득이 되지 않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없다, '불행한 상태'를 자신에게 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 우리는 모두 어떠한 목적을 따라 살고 있네 변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변하지 않겠다고 결심했기 때문 그렇다 내가 다이어트를 계속 실패하는 것은 사실 내가 계속 맛있는 걸 먹겠다는 목적을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프로이트의 원인론이 아닌 목적론에 입각해서 살아야 한다. 과거에서 원인을 찾지 말고 트라우마를 부정하라. 인간은 과거의 원인에 떠밀려 행동하지 않고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행동한다. 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목적론 /주관 답이란 남에게서 얻는 것이 아.. 2023. 1. 24.
📕논문 /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건축무한육면각체-진단 0 : 1의 파해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 건축무한육면각체-진단 0 : 1의 파해 오상현/이수정 이상 시의 주기경계조건 1– 「건축무한육면각체 - 진단 0:1」의 파해 이 논문 시리즈는 이상(李箱, 본명 김해경(金海卿), 1910-1937)의 작품 속에 나타난 주기경계조건(periodic boundary condition, PBC) 모티프를 규명·활용하여 난해시의 해석과 이상 문학의 더 깊은 이해를 www.kci.go.kr 체고! 멋진 논문이다. 읽고 혼자 정리해보았다. 주기경계조건이란? 경계를 서로 이어서 공간이 주기적인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조건 주기경계조건을 나타내는 도식적 표현이다. 밝기가 옅을수록 과거. (옆면이 이어진 것 확인 가능) a 기본 다각형 그림 b 반복 그림 : 옆으로 반복적 연결 c 동일 위상.. 2023. 1. 21.
📒이상문학전집 - 이상 (22~23.1.후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1. 21.
🏆솔브드 클래스 2++ 달성하기! 🧧 설연휴에(맨날 놀긴 하지만) 클래스솔브드 도장깨기 목표는 클래스 2++ 달성! 7문제! 2231 분해합 브론즈 2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 from sys import stdin N = int(stdin.readline()) #자릿수에 따라서 생성자후보 최솟값 구하고 되는지 다 돌기 # 생성자 후보 최솟값은 원래수-(원래수의자릿수*9)로 #자릿수 구하기 M = N length = 1 while(1): if M/10 >= 1: M /= 10 length += 1 else: break reresult = 0 for cha in range( N - (length * 9), N): result = cha K = cha for j in range(length-1,-1,-1): result += K //(10**.. 2023. 1. 21.
🛰국제우주정거장🛰 실시간 영상 HDEV Formerly the site for the High Definition Earth-Viewing System (HDEV) : Operational: April 30, 2014 – End of Life: August 22, 2019. See more information below. Currently, live video of Earth is streaming from an external HD camera mounted on the ISS. The eol.jsc.nasa.gov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연구시설을 갖춘 다국적 우주정거장 지구 저궤도에 속하는 400km 고도에 떠 있으며, 시속 27,743.8 km의 속도로 매일 지구를 15.7.. 2023. 1. 21.
🧚‍♂️알고리즘🧚‍♂️ - 완전탐색 - 브루트 포스 브루트 포스 완전탐색 알고리즘. 즉,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모두 탐색하면서 요구조건에 충족되는 결과 찾기 이용 도구 선형 구조를 전체적으로 탐색하는 순차 탐색 비선형 구조를 전체적으로 탐색하는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 First Search)/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 1. 브론즈2 백준 2858 기숙사 바닥 2858번: 기숙사 바닥 첫째 줄에 상근이네 방의 크기 L과 W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만약, 두 수가 다르다면, 큰 수가 L이 되고 작은 수가 W이 된다. 항상 정답이 유일한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 빨간색 타일의 최대 수, 갈색 타일의 최대 수를 확인해서 적당한 수를 반복문에 넣는다. from sys i.. 2023. 1. 16.
🧚‍♂️알고리즘🧚‍♂️ - 정렬 - 기수 정렬 / 계수 정렬 기수 정렬 값을 바로 비교하지 않는 특이한 정렬 값을 놓고 비교할 자릿수를 정한 다음 해당 자릿수만 비교함 시간복잡도 O(kN) K는 데이터의 자릿수 10개의 큐 사용 ( 0,1,2,3,4,5,6,7,8,9 담당) 일의 자릿수 -> 십의 자릿수 -> 백의 자릿수 ... 순으로 정렬돤 데이터들을 계속 재정렬 (이전 자릿수에서 정렬된 순서 기준으로 다음 자릿수에 저장!) 계수 정렬 데이터의 최댓값 크기의 배열에 각 요소의 배열 등장 횟수를 count해 저장한 후 작은 인덱스값 순서대로 출력 O(n + k) (k는 Input 요소의 최댓값)( k가 작은 수라면 O(n), k가 무한으로 커질 때는 O(무한)) 실버 5 10989번 수 정렬하기3 10989번: 수 정렬하기 3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2023.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