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컴공생의 공부 일기
  • 공부보단 일기에 가까운 것 같은
  • 블로그

📖 CS56

정통공 굣님 요약 정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4. 17.
정보통신공학 Chap 2 : Protocol Architecture, TCP/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ℹ️ 자료 정리ℹ️ 굣님 요약 정리 🔷 1.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두 장비의 같은 계층 모듈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의 집합항목설명구성 요소Syntax(형식), Semantics(의미), Sequence(순서)구현 방식계층화된 구조 (Layered protocol stack)작동 방식N계층 프로토콜은 원격의 N계층 프로토콜과 PDU를 교환함Payload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Header동일 계층의 상대방에게 보내는 제어 정보 🔷 2. 계층 간 관계 및 역할계층 간 관계설명상위 계층의 사용자 (Service User)N계층 프로토콜은 N–1 계층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사용하위 계층의 제공자 (Service Provider)N계층 프로토콜은 N+1 계층 프로토콜에게 서비스를 제공SA.. 2025. 4. 16.
정보통신공학 Chap 7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 3. HDLC ℹ️ 자료 정리ℹ️ 굣님 요약 정리 ✅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정리HDLC는 신뢰성 있는 WAN용 점대점 링크에서 사용되는 2계층 프로토콜이며, I/S/U 프레임으로 데이터/제어/설정 기능을 수행하고, 비트 기반 전송을 위해 Bit Stuffing을 사용한다. 📌 HDLC의 기본 개념항목설명사용 분야주로 WAN 환경의 점대점(point-to-point) 링크에서 사용연결 방식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 → 작동 단계: Link Setup → Data Transfer → Link Disconnect프레임 인식 방식Flag 필드(01111110)로 프레임 경계 구분주소 구조8-bit 주소 사용 (이더넷의 48-bit MAC 주소와는 다름)비트 기반.. 2025. 4. 16.
정보통신공학 Chap 7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 2. Error Control ℹ️ 자료 정리ℹ️ 굣님 요약 정리 🔁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정리 ✅ ARQ의 기본 개념항목내용ARQ의 목적오류가 있는 프레임을 송신 측에서 재전송하여 신뢰성 확보신뢰성 전송 (reliable transmission)손실 없음 + 순서 보장 + 중복 없음ARQ의 유형Backward Error Correction (BEC) 방식 – 재전송 기반프레임 손실 감지 방법TX: Timeout RX: Out-of-order 수신 (Sliding Window에서만 가능) ✅ ARQ 유형별 비교항목Stop-and-Wait ARQSliding Window : Go-Back-N ARQSliding Window : Selective Reject ARQACK 종류ACK0, ACK1 (.. 2025. 4. 16.
정보통신공학 Chap 7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 1. Flow Control ℹ️ 자료 정리ℹ️ 굣님 요약 정리 📡 Flow Control & Sliding Window ✅ 1. Flow Control의 목적 수신 측 버퍼 오버플로우 방지송신자가 수신자의 처리 속도 및 버퍼 용량을 고려해 전송 속도 제어. ✅ 2. 주요 시간 요소요소의미Transmission Time (Ttrans)프레임의 모든 비트를 링크로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 (L bits / R bps)Propagation Time (Tprop)1비트가 TX→RX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d / V) ✅ 3. Stop-and-Wait Flow Control특징설명전송 방식프레임 1개 전송 → ACK 수신 대기 → 다음 전송프레임 수한 번에 1개만 전송 가능효율성전파 지연이 클수록 비효율적 (idle 시간 ↑.. 2025. 4. 15.
정보통신공학 Chap 1 :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 ℹ️ 자료 정리 2025. 4. 15.
정보통신공학 Chap 6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 3. Error Correction ℹ️ 책정리ℹ️ 굣님요약 정리! ✅ 오류 정정 방식의 두 가지 방법 (Error Correction Methods) 1️⃣ BEC (Backward Error Correction) 오류 발생 시, 재전송 요청으로 정정하는 방식 방식: RX가 오류난 프레임을 감지하고, TX에게 재전송 요청 (ARQ 등)적합하지 않은 경우:전파 지연이 긴 환경: 위성 통신 등 (satellite)대역폭이 제한된 무선 링크: wireless실시간성이 중요한 응용: VoIP 등 delay-sensitive 서비스 2️⃣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송신자가 정정용 비트(redundant bits)를 함께 보내수신자가 자체적으로 오류를 정정하는 방식 ✅ FEC 예시: Hamming Code H(n.. 2025. 4. 14.
정보통신공학 Chap 6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 2. Error Detection ℹ️ 책정리ℹ️ 굣님요약 정리! ✅ Error Detection in Serial Communication  ⚠️ 원리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을수록 → bit error 영향도 커짐프레임이 길어질수록 → 오류가 포함될 확률도 증가 🧪 주요 방식 (3가지)방식설명계층 Parity Check1비트 패리티(홀수/짝수)를 붙여 오류 감지L2CRC (Cyclic Redundancy Check)다항식 나눗셈 기반 고정밀 오류 검출L2Internet Checksum1의 보수 합산 방식, TCP/IPv4 등에서 사용L3/L4  ✅ 1.  Parity Check (Physical Layer or Data Link Layer)기본 원리Parity 비트를 추가하여 전체 비트의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만듦 홀수 개 비.. 2025. 4. 14.
정보통신공학 Chap 6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 1. Timing ℹ️ 교재정리뿌듯ℹ️ 굣님요약 정리! ✅ Serial Communication 개요 Serial Communication: → 핵심 이슈: 송신기(TX)와 수신기(RX) 간의 클럭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데이터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단일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 ✅ Asynchronous Serial Transmission L1에서 클럭 동기화 없음대신 L2에서 타이밍 정보를 frame에 포함해 보냄  ⏱ 타이밍 정보 구성 1 start-bit1~2 stop bits→ 이 비트들은 클럭 싱크를 위한 오버헤드  ⚙️ 선택적 오류 검출 기능 1-bit Even/Odd parity (Optional) → 에러 검출용 오버헤드  🧪 적용 사례 느리고 짧은 길이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 .. 2025. 4. 12.
정보통신공학 Chap 4 Transmission Media(교재) ℹ️ 책정리 어김없이 끝으로 갈수록 날아가는 정신력..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 ጿ ኈ ቼ ዽℹ️ 굣님요약 정리! 📡 Transmission System• TX(transmitter) → (Layer 1 장치) → RX(receiver)• Layer 1 장치: 리피터, 앰프, 허브, 커넥터 등 물리 계층 장치 ⏱️ Delay 종류• Transmission Delay: 프레임의 비트를 신호로 변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 전송률(Transmission rate, 링크 성능)에 영향 받음 • Propagation Delay: 비트 1개가 송신지 → 수신지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 전송 거리(Link length)..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