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컴공생의 공부 일기
  • 공부보단 일기에 가까운 것 같은
  • 블로그

Club374

❇️ [Masked Autoencoders Are Scalable Vision Learners] 논문 발표 준비 에그타르트(big), 곤약젤리, 티즐, 삼김, 단백이, ❇️ 발표문 #1-1. 컴퓨터 비전에서의 표현 학습 한계 CNN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비전의 대표적인 성공은 ImageNet 사전학습입니다.하지만 그 성공은 라벨링된 수백만 장의 이미지에 기반하고 있습니다.이제는 ViT 같은 대형 모델들이 등장했는데, 이런 모델은 ImageNet만으로는 부족합니다.실제로, 기존 연구들은 수억 장 규모의 비공개 데이터셋(JFT 등)에 의존하고 있고,일반 연구자나 기업 입장에서 접근이 어렵습니다.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NLP처럼, 라벨 없이도 표현을 학습할 수는 없을까요? >여기 보시는 그래프는 모델 크기에 따른 성능 비교입니다.기존의 Vision Transformer는 JFT-300M과 같은 거대한 라벨링 .. 2025. 5. 19.
✳️ [Swin Transformer: Hierarchical Vision Transformer using Shifted Windows] 인트로 리뷰 + 발표자료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5. 19.
🌌 [Identifying galaxy mergers in observations and simulations with deep learning] 논문 공부 📘 ABSTRACT 배경(Context). 은하 병합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다.Euclid 및 LSST와 같은 대형 관측 조사가 다가옴에 따라, 은하 병합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확한 기법이 필요하다. 목표(Aims). 우리는 딥러닝 기법이 실제 관측에서의 시각적 분류와 시뮬레이션에서의 물리적 분류를 재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두 분류 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병합 연구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정답 데이터(truth sample)’의 부재인데, 우리의 방법은 시각적으로 식별된 병합 카탈로그의 편향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방법(Methods). 우리는 합성곱 신경망(CNN)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두 가지 방식으로 학습했다:하나는 SDSS.. 2025. 5. 15.
✳️ [Masked Autoencoders Are Scalable Vision Learners] 논문 읽기 📘 ABSTRACT 이 논문은 Masked Autoencoder(MAE)가 컴퓨터 비전에서 확장 가능한 자가 지도 학습 방법임을 보여준다. 우리의 MAE 접근법은 간단하다: 입력 이미지의 일부 패치를 무작위로 마스킹하고, 누락된 픽셀을 복원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두 가지 핵심 설계에 기반한다. 첫째, 비대칭적인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설계했다. 인코더는 마스크된 토큰 없이 보이는 패치에만 작동하고, 디코더는 잠재 표현(latent representation)과 마스크 토큰을 이용해 원래 이미지를 복원한다.둘째, 입력 이미지의 상당 비율(예: 75%)을 마스킹하는 것이 의미 있는 자가 지도 학습 과제를 형성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 두 설계를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대규모 모델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습.. 2025. 5. 14.
🔭 LSST with AI : day 2 싸인받았따!!소은이 알바 사장님이 부탁하셧다고 A4용지 묶음 가져옴ㅋㅋㅋㅋ나도 껴서 받음밥...오늘도 맛잇음...챱챱🔭 Practical application tutorial session II: machine learning with survey images GitHub - csabiu/KAML-2025: AI with LSST workshop - KAML 2025AI with LSST workshop - KAML 2025. Contribute to csabiu/KAML-2025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이미지 처리!🔭 Autoencoder-Based Galaxy Image Search: A New Approach to M.. 2025. 5. 14.
🔭 LSST with AI : day 1(PM) 밥...맛있음...공짜밥인데 짱임🔭 Practical application tutorial session I: machine learning with survey catalogs GitHub - csabiu/KAML-2025: AI with LSST workshop - KAML 2025AI with LSST workshop - KAML 2025. Contribute to csabiu/KAML-2025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SDSS(슬론 디지털 전천탐사)의 천체 데이터를 불러와서 은하(GALAXY), 별(STAR), 퀘이사(QSO)를 분류하는 천체 분류 머신러닝 📚 전체 노트북 구성 요약 1. 데이터 수집 및 전처.. 2025. 5. 13.
🔭 LSST with AI : day 1(AM) 💫 LSST with AI : 11th Korea Astronomy Machine Learning Meeting 신청우주먼지 교수님이 추천해주셨다이번에 데이터 다뤄 보니까 어렵더라가서 체험하면 좋을 듯! "LSST with AI" KAML 2025Welcome! Welcome to the webpage of 11th Korea Astronomy Machine Learning Meeting, Spring 2025, "LSST with Ajunggoldchae-coding.tistory.com이거왓다쿠키 한국천문연구원KMTNet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KMTNet 과제를 시작하였으며, 1.6m 광시야 망원경과 모자이크 CCD 카메라를 남반구의 칠레,.. 2025. 5. 13.
✳️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논문 리뷰 ✳️ 논문 리뷰 1. 🧾 논문 개요이 논문은 복잡한 연속 잠재 변수를 포함한 생성 모델에서 효율적인 추론과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변분 베이즈 추론 방법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Stochastic Gradient Variational Bayes (SGVB) 추정기를 기반으로 한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AEVB)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도 효율적인 근사 posterior 추론 및 학습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특히 인코더(추론 모델)와 디코더(생성 모델)를 신경망으로 구성한 Variational Autoencoder (VAE) 구조가 등장하게 된 결정적인 논문이다.2. 🎯 주요 기여✅ SGVB 추정기 제안: 미분 가능한 형태로 변분 하한(ELBO)을 추정할 .. 2025. 5. 12.
✳️ [Rainbow: Combining Improvements i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인트로 리뷰 중간고사,,,,,가 드디어 끝 ✳️ 번역초록 (ABSTRACT)우리는 강화학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계열의 정책 경사(policy gradien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확률적 경사 상승법(stochastic gradient ascent)을 통해 “대리 목적 함수(surrogate objective)“를 최적화하는 과정을 번갈아 수행한다. 기존의 정책 경사 방법들이 샘플 하나당 한 번의 경사 업데이트만 수행하는 반면, 우리는 미니배치(minibatch) 방식으로 여러 에폭(epoch)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새로운 목적 함수를 제안한다.우리가 제안하는 새로운 방법인 Proximal Policy Optimization(PPO)은 Trust Regi.. 2025. 5. 12.
✳️ [PPO: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인트로 리뷰 https://arxiv.org/pdf/1707.06347 PPO 예전에 살짝 공부했었던강화학습리워드모델 거리Abstract우리는 강화학습을 위한 새로운 계열의 정책 경사(policy gradien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확률적 경사 상승법(stochastic gradient ascent)을 이용해 “대리(surrogate)” 목적 함수를 최적화하는 과정을 번갈아 수행한다. 기존의 표준 정책 경사 알고리즘은 각 데이터 샘플마다 한 번의 경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반면, 본 논문에서는 미니배치(minibatch) 기반의 다중 에폭(epoch)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목적 함수를 제안한다. 이 새로운 방법을 Proximal Policy O.. 2025.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