ℹ️ 자료 정리
ℹ️ 굣님 요약 정리
✅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정리
HDLC는 신뢰성 있는 WAN용 점대점 링크에서 사용되는 2계층 프로토콜이며,
I/S/U 프레임으로 데이터/제어/설정 기능을 수행하고,
비트 기반 전송을 위해 Bit Stuffing을 사용한다.
📌 HDLC의 기본 개념
항목 | 설명 |
사용 분야 | 주로 WAN 환경의 점대점(point-to-point) 링크에서 사용 |
연결 방식 | 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 |
→ 작동 단계: Link Setup → Data Transfer → Link Disconnect | |
프레임 인식 방식 | Flag 필드(01111110)로 프레임 경계 구분 |
주소 구조 | 8-bit 주소 사용 (이더넷의 48-bit MAC 주소와는 다름) |
비트 기반 | Bit-oriented 방식 → 데이터 중 Flag 패턴 충돌 방지 위해 Bit Stuffing 필요 |
📌 HDLC의 프레임 유형 (Frame Types)
프레임 종류 | 이름 | 주요 용도 | 시퀀스 번호 |
I-frame | Information Frame | 사용자 데이터(IP 패킷 등) 전송 + Piggybacked ACK | O |
S-frame | Supervisory Frame | 오류 제어 / 흐름 제어 (ACK, REJ 등) | O (ACK용) |
U-frame | Unnumbered Frame | 링크 설정/해제, 모드 전환 등 제어용 | ✕ |
✅ IP 패킷 전송 시 사용되는 프레임: I-frame
📌 HDLC와 Ethernet 비교
항목 | HDLC | Ethernet |
주소 길이 | 8-bit 주소 | 48-bit MAC 주소 |
동작 방식 | Connection-oriented | Connectionless (Best-effort) |
프레임 구분 | Flag 필드 (01111110) | Length/type 필드 및 프레임 크기 기반 |
오류 제어 | 포함됨 (ARQ 등) | 없음 (상위 계층에 위임) |
📌 기타 핵심 개념
- Bit Stuffing:송신자가 1이 5번 연속되면 0을 삽입, 수신자는 이를 제거
데이터 중 Flag 패턴(01111110)이 나올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 ARQ 메커니즘 포함→ TCP와 유사하게 신뢰성 확보 → REJ, SREJ, Timeout 기반 재전송 가능
- Piggybacking:
I-frame에 수신 확인 ACK(N(R))를 함께 실어 전송 → 효율적 통신
'📖 CS >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공 굣님 요약 정리 (0) | 2025.04.17 |
---|---|
정보통신공학 Chap 2 : Protocol Architecture, TCP/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0) | 2025.04.16 |
정보통신공학 Chap 7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 2. Error Control (0) | 2025.04.16 |
정보통신공학 Chap 7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 1. Flow Control (0) | 2025.04.15 |
정보통신공학 Chap 1 :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