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
솔미니 선정 차례
솔미니 굿 기사~
🔎 The ‘US Cyber Trust Mark’ finally gives device makers a reason to spend big on security: Google 검색
www.google.com
🚨공부 📰
🚨논제 탐구 📰
인상깊었던 부분 요약
🚨Research Topic
1.미국의 사이버 신뢰마크 취득을 위한 기준 및 요구사항에 대해서 찾아봅시다.
강력한 암호 설정/ 정보 보호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침투 감지 기능 등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마련한 구체적인 사이버보안 기준을 충족해야 인증받을 수 있음!
2.해킹 기법 3가지를 정해서 조사해봅시다.(자율)
인터넷에서 가장 일반적인 해킹 유형
해커가 개인이나 조직을 공격하기 시작하면 다양한 해킹 기술, 도구 및 전문 기술 지식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이며 대중적인 해킹 방법에 대해 배우고, 적절한 도구와 보
nordvpn.com
스니핑 (패킹 도청)
스푸핑
세션 하이잭킹
나도 해킹 배워보고싶어~
🚨Discussion topic
1.미국의 사이버 신뢰인증 마크가 대한민국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
사이버보안 쪽의 전망이 (원래도 좋았지만) 앞으로 더 좋아질 것 같다. 요즘 인공지능 개인정보 수집 이슈도 포함하여 개인정보의 보호에 대한 내용이 핫한 감자인데 이 내용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정보보안에 더 큰 관심을 가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유튜브 긱블에서 해킹 대회에 나간 고등학생 분을 본 적 있는데 그분처럼 능력 있는 분이 많이 나와서 우리나라도 보안 쪽에 더 인재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나는 정보보안은 별로
2.정부의 사이버 신뢰 인증마크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가?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소비자들은 더 안전하게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좋을 것 같다.
다만 정보보안 허들이 높아지면 관련 기술에 대해 개발과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렇다면 기기 제조 부문에서는 중소기업들이 더 난항을 겪지 않을까 생각한다.
3.IT 전문가의 인력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해결방안으로 무엇이 있을까?
별로 해결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IT 전문가의 희소성이 높아질수록 나도좋고~ 솔민이도 좋고~ 소은이도 좋고 ~언니도 좋고~
아니면 내가 교육자격증을 따서 학원이나 세미나 부수입을 얻는 방향으로 해결에 기여해보겠다.
🚨Additional information
-사이버 인증마크에 대한 한국 기사
美, 스마트기기 사이버보안 인증제 도입…LG·삼성도 참여
2022년 CES에 전시된 삼성 TV...
stock.mk.co.kr
-미국·EU·영국 등의 사이버보안 전략 분석 및 시사점_한국 인터넷 진흥원
wow
🚨스터디 - 토론/토의 📰
오늘부터 스터디 토론도 영어로 진행했다
ㄷ ㄷ ㄷ
애플은 참여하지 않았대
!자주 쓴 단어!
경향이 있다
tend to
have a tendency to
도입하다
phase in
제도
Policy
의무화
mandatory
검증하다 / 보장하다
demonstrate
기준
standard
관점
aspect
'기타 > 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𝐈𝐓-𝐈𝐌𝐄𝐒 📰 - 9회차 (0) | 2023.09.25 |
---|---|
🚨𝐈𝐓-𝐈𝐌𝐄𝐒 📰 - 8회차 (0) | 2023.09.18 |
🚨𝐈𝐓-𝐈𝐌𝐄𝐒 📰 - 6주차 (0) | 2023.08.01 |
🚨𝐈𝐓-𝐈𝐌𝐄𝐒 📰 - 5주차 (0) | 2023.07.31 |
🚨𝐈𝐓-𝐈𝐌𝐄𝐒 📰 - 4주차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