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우주

🌌은하수(우리 은하)🌌

by 정람지 2023. 1. 7.

-The Milky Way-

은하수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우리 은하)이다. 국부은하군의 일부인 막대 나선 은하로, 우주에 있는 약 2조개의 은하 가운데 하나이다.은하의 면은 황도에 약 60° 기울어져 있다. 하늘의 한 켠에 별빛이 집중된 모습이 마치 은빛 강처럼 보이기 때문에 은하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은하수는 국부 은하군에서 안드로메다 은하 다음으로 큰 은하이다. 은하수의 너비는 105,700광년이다.은하의 주요 유형은 네 개로, 나선 은하, 타원 은하, 특이 은하, 불규칙 은하인데, 은하수는 첫 번째 유형에 속한다.

 

 

나선 팔

우리 은하의 나선 팔은 4개로 추정된다. 큰 나선팔인 방패-센터우르스 나선팔과 페르세우스팔, 작은 나선팔인 노르마 팔과 궁수자리팔로 구성되어 있다.  큰 나선팔인 방패-켄타우루스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에서는 젊고 밝은 항성과 나이든 ‘적색거성’의 밀도가 높다. 다른 작은 나선팔 둘은 은하 중심 막대 구조의 양끝에 연결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페르미 거품

2010년에 발견된 우리 은하 구조 중의 일부로,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이 발견했기 때문에 페르미 거품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은하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서있는 기묘한 구조를 보인다. 상하 대칭이며, 경계면도 굉장히 날카롭다.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뻗어나온 둥근 부분을 페르미 거품이라고 부른다. 거품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우리 은하 생성 초기에 있던 활동성 은하 핵에 의해 핵 주변의 물질들이 날아가면서 형성됐다는 가설, 암흑 물질이 우주선에 의해 소멸되면서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이라는 가설 등이 있다.

초대질량 블랙홀

초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은 태양 질량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이다. 거의 대부분의 은하의 중심에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은 궁수자리 A*의 위치에 있으며 태양보다 400만 배 이상 무거울 것으로 추정된다.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는 중심에 우리 은하의 중심 블랙홀보다 27에서 57배 정도 더 큰 블랙홀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한 것 중 가장 큰 초대질량 블랙홀은 NGC 4889의 중심 블랙홀이며 이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210억 배이다.

구상성단

구상성단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처럼 돈다. 구상성단은 중력에 의해 단단히 유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형의 모양을 유지하고,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별의 밀도가 높아진다. 은하헤일로에서 발견되는 구상성단은 은하원반에서 발견되는 산개성단보다 비교적 많고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상성단은 제법 흔한 천체로서, 현재까지 약 150개~ 158개의 구상성단이 우리은하에서 발견되었다. 국부은하군의 질량이 충분한 은하는 모두 한 무리의 구상성단을 거느리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거의 모든 큰 은하들은 구상성단계를 가지고 있다. 은하의 별들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별들이 구상성단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은하 진화에 있어 구상성단의 기원과 역할은 아직 불확실하다.

독수리 성운

성운이란 우주공간에 별과 별 사이에 있는 기체나 티끌들이 어떤 원인에 의해 비교적 높은 밀도로 모여 있는 천체를 말한다. 독수리 성운은 뱀자리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이자 산개성단이다. 이 성운 내부에는 항성 형성이 활동적으로 일어나는 수많은 가스와 먼지가 있으며, 그 중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창조의 기둥은 특히 유명하다.성간가스와 성간먼지들이 새로운 별을 만드는 과정 중에 있으며, 그와 동시에 최근에 형성된 근처의 별의 빛에 의해 무너져 가고 있기 때문에 창조의 기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태양계

우리 태양은 우리 은하의 핵에서 대략 2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은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중간 정도에 있다. 우리 태양계는 방패-센터우르스 나선팔과 페르세우스, 이 두 개의 주요 팔 사이에 있으며, 오리온 팔 또는 오리온 지선이라는 이름의 작은 부위의 팔 내부에 있다. 이 팔의 너비는 약 3,500광년이고 길이는 20,000광년이 넘는다.


포스터 제작한 내용이다.

kurzgesagt의 포스터가 너무 가지고 싶었는데 해외배송이라 너무 어려워서..

버킷리스트인 포스터 만들기도 할 겸 한국어로 직접 만들어 봤다. 반짝이는 그림 그리는 거도 재밌었다.

그리고 나서 우리은하의 팔이 4개라는 걸 알았다..

팔이 몇개인지

두근두근

실제로 보고 마음에 들면 몇 개 더 만들어봐야겠다.

 

'기타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항성  (0) 2023.04.22
🛰국제우주정거장🛰 실시간 영상  (1) 2023.01.21
시뮬레이션  (0) 2022.12.03
🪐인터스텔라 속 이론들🪐  (0) 2022.09.27
⭐️별⭐️은 왜 ✨반짝✨일까?  (4)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