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간지 님~짱~
환율 : 외국 돈과 우리나라 돈을 바꿀 때 적용되는 교환비율
환율이 오르면 원화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
금리 : 돈의 가치
물가 : 물건의 가치
채권 : 회사 국가 은행 등 발행. / 발행기관이 돈을 갚아야 하는 기한이 있음
주식 : 회사만 발행
CPI : 소비자 물가 지수
연준(FED) : 미국 연방 준비 제도 /미국 짱은행 중앙은행/ 달러를 찍어내는 일을 함
한은 : 한국은행
기축통화 : 국제 거래에서 기본이 되는 통화 (달러는 기축통화, 원은 아님)
FOMC :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 12명으로 구성된 위원회 / 금리(돈의 가치) 결정
매파 : 강력한 느낌 / 물가 안정 위주(인플레이션 억제)/ 금리 인상/ 긴축 정책
비둘기파 : 온건한 느낌 / 경제 성장 위주 (인플레이션 장려, 양적 완화, 금리 인하) 소비하세요~ 이자 별로 안 붙일게요~

올해 6 -7월에 미국 물가가 엄청 높았음 (인플레이션)
왜 일어났는가? (정확히 예측할 수 없음)
코로나
- 높은 실업률
- 경제 침체 우려(소비 하락)
간접적 : 금리 인하(돈의 가치 인하/돈을 많이 풂) -> 대출 많아짐
직접적 : 양적 완화 (국가가 발행한 채권을 은행이 사들임/ 국가가 그돈으로 국민들을 지원함)
그래서
자산의 가치 상승
사람들이 돈이 많아지면서 주식, 코인,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서 빵 뜸 (+ 경기와 노동시장의 불안으로 인한 다른 수익창구에 대한 관심 상승 효과도 있음)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기름과 밀 공급에 장애가 생김
-> 가격 폭등,공급이 부족
등등의 결과로 미국 인플레이션 발생
그래서 이제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을 함 ( 돈을 푸는 속도를 줄이는 걸 테이퍼링이라고 함)
- 간접적: 금리 인상
- 직접적: 은행에게 국가가 돈을 갚아야 함
FOMC의 금리 인상 발표

역전금리 우려
한국의 금리가 미국의 금리보다 낮아지는 것
외국인 투자자들이 빠져나감 (금리가 높은 국가에 투자할 때 높은 수익이 나므로)
IMF
한국에서 달러가 별로 없어져서
외환보유고의 자산이 고갈됨 (높아야 좋다)
그래서
금리를 어쩔 수 없이 높이게 됨
갚아야 할 빚이 늘어난다는 뜻
그런데 한국은 가계 부채가 타 국가들보다 높음(한국은 타격이 큼)
0.75퍼센트 상승 발표
자이언트 스텝
'기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폰스 무하: 더 골든 에이지 (0) | 2023.05.01 |
---|---|
🐿 다람쥐 굴🐿 - 쓸데없는 것 저장 (0) | 2023.04.04 |
ㅇㅈㅎㅁㅎㅇㄱㅅㅌㄱ - ㅅㅅㅍ (0) | 2023.02.21 |
내가 사랑하는 인간(알쓸인잡) (0) | 2022.12.20 |
채식주의 탐색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