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S/정보통신공학21 📡 정보통신공학- Ch1.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2nd)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4. 15. 📲 정보통신공학 - Ch6. 오류 검출 및 정정 - 6 순방향 오류 정정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4.6 📲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HDLC), 수송 프로토콜(TCP) : 오류검출 사용 무선 전송 : 오류 검출 코드는 "데이터 블록의 재전송"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용하기 부적합 - 무선링크에서의 비트 오류율은 상당히 높을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수많 은재전송이 일어날 수 있음 - 특히 위성 링크와 같은 경우, 프레임 하나의 전송시간에 비해서 전파 지연이 매우 길어 매우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음 재전송 대신 수신기가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의 비트정보를 기반으로 오류를 스스로 수정! 오류 정정 코드 부착: .. 2024. 4. 14. 📲 정보통신공학 - Ch6. 오류 검출 및 정정 - 5 순환중복검사(CRC)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4.5 📲 순환중복검사(CRC) 매우 강력하고 가장 흔한 오류 검출 기술 k비트 블록 데이터 또는 메시지가 주어지면 송신기는 프레임 검사열(frame check sequence : FCS)이라는 n-k 비트열을 생성 => 최종 n 비트의 프레임은 미리 정해져 있는 어떤 숫자로 나누어 떨어짐 - 세 가지 절차 1. 모듈러 2연산 (module 2 arithmetic) 2. 다항식 ( polyomical) 3. 디지털 논리 👀 모듈러 2연산 (module 2 arithmetic) T = 전송될 n 비트 프레임 D = k 비트 데이터 블록(메시지) 또는.. 2024. 4. 13. 📲 정보통신공학 - Ch6. 오류 검출 및 정정 - 1~4 오류의 종류/검출/패리티 검사/인터넷 체크섬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Ch6] 오류 검출 및 정정 배울 것 - 오류 검출 코드를 사용하는 기본 방법 - 인터넷 체크섬의 개요 - 순환 중복 검사 방법의 동작 - 해밍거리를 정의 - 블록 코드를 사용한 순방향 오류 정정 기법의 기본 원리 전송 오류를 대처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세 가지의 방법 - 오류검출코드 - 순방향 오류 정정코드(FEC) 또는 오류 정정코드 - 자동 재전송(ARQ)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 프레임, 패킷 또는 셀이라 불리는 데이터 블록에 적용 - 단일비트 오류와 버스트 오류 간의 차이점 - 오류검출을위한 세 가지 접근 방법 .. 2024. 4. 12. 📲 정보통신공학 - Ch4. 전송 매체 - 4. 시야 전송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4.3 📲 시야 전송 👀 자유공간 손실 무선 전송의 유형과 상관 없이 신호는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분산됨 => 따라서 고정 위치의 안테나는 송신 측 안테나가 멀리 있을수록 약한 신호 전력을 받게 됨 => 위성통신에서의 신호 손실의 주요 원인 => 자유공간 손실(free space loss) 자유공간 손실과 주파수의 관계: 안테나 치수와 거리가 동일할 때, 반송파의 파장이 길어질수록(즉,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자유공간 손실이 커짐 반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자유공간 손실이 커짐 손실 보상과 안테나 이득: 안테나 이득을 통해 높은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 2024. 4. 12. 📲 정보통신공학 - Ch4. 전송 매체 - 3. 무선 전파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4.3 📲 무선 전파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신호는 세 종류의 경로를 거쳐 전송 1. 지표파 (ground wave) 2. 창공파 (sky wave) 3. 시선(Sign of sight :LOS)을 통한 전송 🛰️ 지표파 전파 지표파의 정의 및 특성: 지표파는 지표면의 등고선을 따라 지평선을 넘어 상당히 먼 거리까지 전파될 수 있는 전자기파 주로 2 MHz 이내의 낮은 주파수 대역 전파 메커니즘: 지표파는 지면의 굴곡을 따라 전파되며,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유도 전류 현상: 전자기파가 지표면의 전류를 유도하여 전자기파의 파면을 느리게 하고, .. 2024. 4. 12. 📲 정보통신공학 - Ch4. 전송 매체 - 2. 무선 전송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4.2 📲 무선 전송 마이크로파 주파수 영역: 범위: 약 1GHz ~ 40 GHz 특징: 고도의 지향성 빔 가능, 점대점 전송에 적합 사용처: 위성통신 포함 라디오 주파수 영역: 범위: 약 30 MHz ~ 1 GHz 특징: 다방향성 응용에 적합 적외선 주파수 영역: 범위: 약 3x10^11 Hz ~ 2x10^14 Hz 특징: 근거리 점대점 및 다중점 응용에서 유용, 단일 방처럼 한정된 지역 내에서 사용 비유도 매체에서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이루어짐 📟 안테나 정의: 전자기 에너지를 방사하거나 모으는 전기적 도체 또는 도체 시스템 기능: 송신 시.. 2024. 4. 11. 📲 정보통신공학 - Ch4. 전송 매체 - 1. 유도 전송매체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Ch4] 전송 매체 배울 것 트위스티드페어, 동축케이블, 광섬유의 물리적 특성 광섬유 전송에서 파장과 주파수와의 관계 접시형 안테나의 동작 원리 광학적 및 전파 시야선의 차이점 시야 전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전송 매체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물리적인 통로 역할 유도매체 : 전자기파가 구리 트위스티드 페어, 구리 동축 케이블 및 광섬유 등의 고체 매체를 통해서 전파 비유도매체: 대기, 외부 우주 공간 또는 물을 이용한 무선 전송 데이터전송의 특성과 품질 - 매체 고유의 성질과 신호의 특성에 의해 결정 유도매체 : 전송 매체 자.. 2024. 4. 10. 📲 정보통신공학 - Ch2. 프로토콜 구조,TCP IP,인터넷 기반 응용-2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하...... 정통공싸워 엄마는..운체랑놀거야 2.7 📲 소켓 프로그래밍 소켓 - 1980년대 버클리 소켓 인터페이스로서 Unix 환경에서 개발 - 통신의 종점 - 연결 지향적이거나 비연결이거나 관계없이 => 클라이언트와 서버 프로세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함 한 컴퓨터의 클라이언트 소켓은 다른 컴퓨터의 서버 소켓을 부르기 위해 주소를 이용 => 적당한 소켓이 예약되면, 두 컴퓨터는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음 1. 서버 소켓의 컴퓨터는 예정에 없는 들어오는 콜을 기다리기 위해 TCP나 UDP 포트를 열어 둠. 2. 클라이언트는 대체로 원하는 서버의 .. 2024. 4. 10. 📲 정보통신공학 - Ch2. 프로토콜 구조,TCP IP,인터넷 기반 응용-1 출처 :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10th Edition)," Pearson, 2014 📲 2장 학습내용 계층화된 프로토콜 구조와 각 계층의 기능 통신구조의 필요성과 장점 표준구조의 개발 필요성 / 사설 구조 기반의 제품보다 프로토콜 구조 기반의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 인터네트워킹의 필요성 인터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한 TCP/IP 측면에서 라우터의 동작 TCP/IP 프로토콜 스위트 2.1 📲 프로토콜 구조의 필요성 두 기기 간의 소통 : 고차원의 상호 협력 필요 => 여러 개의 소규모 작업으로 나눠 구현 => 계층 - 각 계층은 바로 하부 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본 서비스를 이용 - 각 계층은 바로 상위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 - 각 계층.. 2024. 4.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