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62 💫Universe🪐- 페르미 역설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은 약 900억 광년 그 안에는 적어도 1000억개 이상의 은하 은하당 1000억개에서 1조 개의 별 별에 달린 수많은 행성들 수십조의 수십조만큼의 거주가능한 행성 그렇다면 외계인들은 어디에 있을까? 우리 은하/이웃은하의 집합인 국부 은하군 외에는 닿는 것이 불가능 (수십억년의 이동시간/ 기술력 부족) 은하수 (밀키 웨이) 우리가 거주하는 은하 -> 4000억 개의 별 ->200억 개의 태양과 비슷한 별 -> 적당한 거리(골디락스 존)에 떨어져 있는 행성들 40억 개 -> 그 행성들 중 생명체가 있을 확률이 0.1퍼센트라고 하면 100만 개의 행성에 생명체가 거주함 하지만 못 찾았다! 우주의 나이 130억년 별의 생명이 끝나고 폭발함으로써 생명을 위한 원소가 생성되므로(철 등) 1.. 2022. 8. 26. 채식주의 탐색 채식의 종류 환경 문제 -온실가스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16퍼센트가 식품생산 과정에서 나옴(식물 포함) 이는 비행기 배 차 트럭이 배출하는 양을 다 합친 양과 같다 2100년이면 식품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양으로만 전체 탄소 허용치를 넘김 개별 식품을 따져보면(운송 배달 등등 포함) 소고기(1키로당 71키로의 이산화탄소량 환산) 양고기(1키로 : 40키로) 돼지고기(1키로 : 12키로) 닭고기(1키로 : 10키로) 감자는 소고기보다 150배 적음 배송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량 로컬푸드 소고기 > 바다 건너온 아보카도 소가 생성하는 메탄가스가 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크게 만듦 농지를 만들기 위해 땅을 개간(숲이 사라지고, 식물에 묶여있던 이산화탄소 배출) 식물은 온실가스 감축에 큰 기여를 함 고기는 .. 2022. 8. 10.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