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의원 교수님
- 사무실 진선미관 335호
- 전화번호 02-3277-2593
- 연구분야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Generative AI, Data-Centric AI, Machine Learning
- 연구실 범용 인공지능 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http://agile.ewha.ac.kr/
황의원 조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
황의원 조교수 사무실 진선미관 335호 전화번호 02-3277-2593 연구분야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Generative AI, Data-Centric AI, Machine Learning 전자우편 uiwon.hwang@ewha.ac.kr 연구실 범용 인공지능 연구실 연구실
cse.ewha.ac.kr
Home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Laboratory @ Ewha Womans University (AGILE) News 2025.03: 🚀 AGILE has opened! Image generated by Dall-E 3
agile.ewha.ac.kr
Uiwon Hwang (황의원)
About
sites.google.com
지원하기 - CV
사골을 재료 추가해서 다시 끓이고
재료 추가해서 다시 끓이고
재료 추가해서 다시 끓이고
재료 추가해서 다시 끓이고
재료 추가해서 다시 끓이고
역시 한 번 열심히 만들어두면 굿
아래 폼 글도 이화미래설계장학금 때 깎은 것 베이스로 끓이기!
지원하기 - 폼
제가 어떤 경험을 통해 교수님의 랩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어떠한 계기로 제 관심 연구 분야 및 연구 계획을 설계하게 되었는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 목표 설정의 동기는 고등학교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코딩 동아리 c.crew 창립
- 문과 고등학교에서 만든 코딩 동아리, 개설 후 상설 동아리 전환 - 졸업 1년 후 학교설명회 졸업생 연사 발표
저는 대학교 입학 전부터 IT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으며, 대학에 입학한 후에는 단순한 이론 학습을 넘어 실제 개발하고 적용하는 경험을 쌓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이론만으로는 성장에 한계를 느꼈고, 실전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기르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이화여대에서 초보 개발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다는 현실을 깨닫게 되었고, 주어진 환경을 기다리기보다 직접 기회를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이에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IT 동아리를 직접 창설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제 대학 생활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 IT 동아리 ec.crew 창설자
2022.6 - 2023.6
- 이화여대 초보 IT 소규모 동아리 : 5기 진행
- 이화여대 DNA_LAB 프로젝트에 합격해 지원금을 받으며 진행
함께하는 부원들이 생기자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긍정적인 시너지를 주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단순한 학습을 넘어 무언가를 함께 만들어보고 싶은 열정이 생겼습니다.
마침 초보자도 도전할 수 있는 멘토가 지원되는 장기 게임 공모전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는 팀이 실전 경험을 쌓기에 적합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부원들에게 함께 도전해보자고 제안하였고, 모두가 뜻을 모아 공모전에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 게임 개발팀(c.crew)
"최고의 계산기사" 게임 앱 개발/출시 직전
팀장
2022.1 - 2025.2
- 게임영상 - CV에서 확인 가능
6개월간의 여정 속에서 IT에 대해 점점 깊이 알아가며, 개발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특히,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협업의 과정에서 큰 보람을 느꼈으며, 혼자가 아니라 팀원들과 함께 성장하는 것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공모전에서 수상하며 상금과 채용 우대권 등의 혜택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저에게 그건 단순한 보상이 아니라, 노력한 만큼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이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몰입이 주는 강한 동기부여와 성취의 의미를 몸소 경험하였으며, 무엇보다 ‘도전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 제2회웅진씽크빅게임개발챌린지 장려상
2022.6 - 2023.1
- 유튜브 기록 - CV에서 확인 가능
이외에도 ec.crew 활동을 통해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프로그래밍 언어 실력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개발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와 효율적인 코드 작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점점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더욱 체계적으로 학습하고자,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알고리즘 학회(EDOC)에 가입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 EDOC
학회장
2023.6 - 2023.12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공식 알고리즘 학회
- IT 데뷔탕트 세미나 기록 블로그 카테고리
- 학교 알고리즘 세미나 주최
- EDOC 활동 기록 블로그 카테고리
- 신촌 지역 학회 초청 세미나 주최
부원으로 활동하며 학회의 운영 방식과 활동을 익혀가던 중, 더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후 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 학회를 발전시키고자 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중심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 알고리즘 세미나를 주최하며, 학교 전체에 알고리즘 문화가 퍼질 수 있게 노력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화여대 내 IT 동아리 간의 교류가 부족하다는 점을 개선하고 싶어 각 동아리 회장들과 직접 연락을 주고받으며 IT 동아리 연합을 창설하였습니다.
• 이화 IT동아리 연합
창설자
2023.6
또한 최윤정 교수님의 추천을 받아 학교 알고리즘 e-class 튜터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튜터로서 학생들에게 알고리즘을 가르치고, 과제를 검토하며, 졸업시험 코딩테스트 문제를 선정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더불어, 튜터 활동을 통해 장학금을 받으며, 내가 쌓아온 실력과 경험이 실제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알튜비튜 튜터
멘토
2023.6 - 2023.12
이화여자대학교 알고리즘 e-class
- 알튜비튜 활동 기록 블로그 카테고리, 깃허브 - CV에서 확인 가능
- 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 튜터로 활동졸업시험 코딩테스트 문제 선정, 과제 코드 리뷰, 강의 진행 등 진행
이화여대 알고리즘 학회 EDOC에서의 활동을 더욱 확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신촌 연합 알고리즘 학회(ICPC 신촌)에 합류하여 운영진으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운영진으로서 학회 내부의 다양한 행사와 대회를 기획하며 경험을 쌓았고, 점차 학회의 운영 전반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보다 넓은 규모에서 알고리즘 커뮤니티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10개 이상의 후원사를 유치하여 신촌 지역 대학 연합 알고리즘 대회(SUAPC)와 알고리즘 캠프,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 및 운영하였습니다.
• ICPC Sinchon 학회장
2023.6 - 2024.2
- 신촌 지역 5개 대학교가 속해 있는 알고리즘 학회.
- 방학 동안 알고리즘 대회 및 교육 캠프를 여는 등의 행사 진행
- ICPC sinchon 기록 블로그 카테고리 - CV에서 확인 가능
- 여러 후원사들과의 소통, 체제 개편, 갈등 관리, 행사 개최 등의 운영
- 백준 대회 링크(개최자 celina324) - CV에서 확인 가능
- 출제 문제 링크 - CV에서 확인 가능
- 대회 문제 출제(출제 플랫폼에서의 제너레이터 등 세팅), 대회 관리(오버리프 레이텍 해설지 작성, 스 트리밍) 등의 경험
- 웹사이트 링크 - CV에서 확인 가능
개인 후원, 명예의 전당 페이지 작업
이러한 경험을 통해 대규모 IT 행사를 기획하고, 후원사와 협업하며, 알고리즘 교육과 대회 문화를 조성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더해 다양한 대학의 학생들과 협력하며 개별적인 성장을 넘어, IT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큰 보람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후 대회와 캠프가 성황리에 마무리된 후, 당시 강사로 참여했던 전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대회(UCPC) 회장님으로부터 직접 제안을 받아 UCPC 대회 개최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 UCPC
전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동아리 연합 운영진
2025.1 -
‘뉴팀스’, ‘파이조’, ‘햄북이햄북스딱스’ 등 다양한 스터디 그룹을 지속적으로 조직하여 같이 공부하는 등 현재까지도 알고리즘에 대한 흥미를 놓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대회에 도전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 SUAPC 2025 ( 신촌 지역 대학교 연합 프로그래밍 대회 )
학교별 특별상
2025.2
ICPC Sinchon에서 운영진으로 활동하던 당시, 학회의 출석을 관리하고 운영을 보다 체계적으로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출석 체크 및 멤버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처음으로 웹 개발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시도였지만, 이 과정에서 웹 개발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고, 이후 본격적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술을 학습하며 실력을 쌓아갔습니다. 학회 홈페이지 개선에도 기여하면서 실전 프로젝트 경험을 쌓았고, 웹을 활용하면 더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한편, 이화여자대학교가 다른 학교들에 비해 알고리즘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늘 아쉬웠습니다. 다른 학교들은 학문적으로나 실전적으로 알고리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이화여대에서는 알고리즘을 깊이 연구하거나 대회를 준비하는 분위기가 다소 부족하였습니다. 이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학회 차원에서 알고리즘 세미나를 주최하고, 이화여대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대회를 기획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알고리즘 학습 분위기를 점차 끌어올릴 수 있었지만, 여전히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유명 PS(Problem Solving) 사이트에서 학교의 랭킹을 올리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이에 뜻을 같이하는 친구들과 함께 이화여대 솔브닥(Solved.ac) 랭킹을 올리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웹사이트 “뀨업”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뀨업”은 백준 온라인 저지(BOJ)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화여대 소속 학생들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랭킹을 올리는 데 필요한 문제 세트를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학교 전체의 PS 학습 분위기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습니다.
• team 뀨엘
이화여대 백준 랭킹 상승용 웹사이트 "뀨업" 배포/운영 팀장
2025.1 - 2025.2
- https://ewhaqup.com
또한 EDOC 회장을 맡았던 당시 창설했던 이화 IT 동아리 연합에서 “이화톤”을 개최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동기들과 함께 팀을 꾸려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 이화여대 해커톤 이화톤 대상
2024.3
알고리즘 문제 해결은 흥미로웠지만, 이를 심화 연구하여 학자로 성장하거나 세계적인 대회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거나, 삼성 소프트웨어 전문가 코스를 통해 입사하는 등의 목표는 너무 멀게 느껴졌습니다.
웹 개발 역시 재미있는 작업이었지만, 반복적인 업무가 많아지면서 점점 흥미를 잃게 되었습니다.
특히, 트러블슈팅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본질적으로 새로운 문제 해결이라기보다는 기존 해결 방법을 익히고 적용하는 것에 가까웠고, 그 과정이 다소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러던 중, ICPC Sinchon에서 LangChain의 Google Drive Loader를 활용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를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문의에 답변하는 디스코드 봇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형 AI가 단순한 자동 응답을 넘어, 의미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활용하고 인간의 작업을 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에 AI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를 위해 휴학을 결정하고 카카오 부트캠프 AI 과정에 지원하여 합격 후 수료하였습니다.
• KakaoTech BootCamp AI 과정
2024.6 - 2024.12 -
- CV에서 확인 가능
카카오 부트캠프에서는 두 개의 AI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생성형 AI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단순히 모델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AI 서비스 개발, 운영, 배포까지 전체 적인 프로세스를 경험하며 실무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LLM 활용 분야에 중점을 두고 공부하였으며,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를 학습하고, 허깅페이스 를 활용한 모델 및 데이터셋 분석, 파인튜닝을 진행과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DPO(Direct Preference Optimization), 기각 샘플링(Rejection Sampling) 등의 기법 연구를 하며 성장하였습니다. RAG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임베딩 모델(ada-embedding-002 등)과 벡터 DB(hnsw, knn, Ann 등)를 활용한 검색 최적화, TF-IDF, BM25 등의 전통적인 임베딩 기법 학습, Weights & Biases(W&B)를 활용한 모델 학습 로깅 및 성능 분석, 멀티모달 모델인 CLIP과 DALL·E를 활용한 실험 진행 등 귀중한 경험을 하였습니다.
또한, 부하 테스트 토너먼트와 해커톤을 통해 대규모 사용자가 AI 모델을 활용하는 환경을 직접 경험하며, 실제 서비스에서 AI 모델이 어떻게 최적화되고 배포되어야 하는지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해커톤 본상
2024.9
후기 블로그 - CV에서 확인 가능
카카오 부트캠프에서 만난 인연을 바탕으로, 함께 뜻을 모아 KDT 해커톤에도 출전하였습니다.
몇 개월 동안 팀원들과 기획부터 프리세일즈, 개발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며,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노인 소일거리 지원 및 지원 식당 매칭 서비스를 제작하였습니다.
단순한 개발을 넘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구성하고, 유저 플로우를 설계하며 기획 단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AI 및 프론트엔드 팀원으로서 파일럿 프로그램(PoC, Proof of Concept)을 개발하며 서비스의 가능성을 검증하였습니다.
특히, 서비스의 실질적인 시장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프리세일즈를 진행하였고, 높은 NPS(Net Promoter Score, 고객 추천 지수)를 기록하며 서비스에 대한 확신을 더욱 굳히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실제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의 의미를 깨닫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그 결과, KDT 해커톤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해커톤 심사위원들이 실제 창업 계획을 묻는 질문을 할 정도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고, 시상식 이후 고용노동부 보좌역과 직접 연락처를 교환하며 향후 창업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단순한 해커톤 프로젝트 경험이 아니라, 제가 앞으로 실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AI 기반 솔루션을 발전시키고 싶다는 의지를 가지게 도와준 귀중한 경험이었습니다.
• 2024년 제6회 첨단산업·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 해커톤
대상 : 국무총리상
2024.11
유튜브 브이로그 - CV에서 확인 가능
이러한 AI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ICPC 신촌에서 함께 학회장을 했던 친구의 추천을 받아 스타트업에서 방학 동안 인턴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턴십을 통해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AI 모델을 실제 서비스 환경에 적용하는 과정을 경험하며,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AI의 실용적 활용과 최적화를 배우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 뷰론
AI 인턴
2025.1 - 2025.2
- 프로젝트에 대한 정리 PPT - CV에서 확인 가능
인턴십 동안 AutoGen을 이용한 결과지 생성 멀티모달 에이전트 개발,
클러스터링과 임베딩/벡터DB를 활용한 의미 검색 구현,
다국어 매뉴얼 영문 치환 프로젝트에서 용어 추가 시 발생하는 기호 삽입 문제 개선 등의 다양한 AI 관련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러한 AI 관련 경험을 통해,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역량을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AI 분야가 단순한 관심을 넘어 내가 진정으로 집중하고 싶은 진로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더욱 심화하기 위해 AI 학회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AI 학회에서는 논문 리뷰 및 발표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최신 연구 동향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더 깊이 탐구하고 있습니다. 저는 Transformer, Clip 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GAN 등의 모델 코드를 실습해보며 연구에 대한 열망을 키우게 되었습니다.
• 이화여대 AI/데이터분석 학회 Euron research 세션
2025.3 ~
또한, 기존에 개발 중심으로 진행하려고 했던 졸업 캡스톤 프로젝트의 방향을 바꾸어 AI 연구 트랙을 선택하기로 확정하였습니다.
어릴 적부터 우주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져왔기에 이 연구의 도메인으로 천문우주학이 적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I 연구 시 항상 큰 문제가 되었던 데이터셋 제한의 문제가 해결되는 도메인 주제라는 점, 연구 대주제로 잡은 멀티모달 AI 가 아직 필드에 많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도메인 특성상 큰 성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은 점 등으로 팀원들을 설득하여 천문우주과학 멀티모달 AI 개발로 연구 주제를 결정하였습니다.
• 캡스톤 연구 : 우주정복 연구젝트 : 멀티 모달 AI를 이용한 은하 병합 단계 판별 모델 개발
2025.3 ~
하지만 관련 논문들을 읽어 보니 천문학 관련 지식이 너무나도 부족함을 느꼈고, 이에 전국에 있는 모든 우주과학과 교수님들께 자문 요청 메일을 보내 여러 면담을 진행하고 많은 유익한 조언을 얻었습니다. 그 과정 중 감사하게도 지웅배 교수님께서 SpaceAI 한국천문연구원 사업에 천문학 석박사 분들과 같이 연합하여 연구 제안서를 내 보자는 의견을 주셨고, 진행 중에 있습니다.
• spaceAI - SYENERGI(Sejong-Yonsei-Ewha NEtwork for Research on Galactic Interactions) : 딥러닝 기반 멀티모달 은하 이미지 분석을 통한 은하 충돌·병합 사건의 탐지 및 시계열적 진화 연구
2025.4 ~
천문학 전문가 분들과 함께할 수 있게 된 것은 너무나도 기쁘지만 아직 AI 쪽으로 너무나도 미숙하다고 생각하는 저는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팀원들과 함께 논문을 읽으며 열심히 공부하고는 있지만 막히는 부분이 생길 때면 자문을 구할 멘토가 절실해졌습니다. 그러던 중 대학원 진학 소개 세미나를 듣게 되었고, 열정이 넘치시는 황의원 교수님의 모습과 제가 지향하는 연구 주제와 부합하는 랩실 설명이 너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분명 원래는 캡스톤 교수님 목록에 안 계셨는데 차후에 추가되었는지 교수님의 지도를 받는 팀들을 보며 아쉬움을 느꼈습니다. 간단한 자문이라도 구해 보고자 한 번 메일을 드려 볼까 고민했는데 홈페이지에 인턴을 구하는 글이 올라온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시험이 끝나자마자 배움을 얻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렇게 지원서를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멀티모달 학습(Multimodal Learning) 및 데이터 중심 AI(Data-Centric AI)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실제 복잡한 과학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의 활용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천문학 데이터를 활용하여 은하 병합 여부를 예측하는 멀티모달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미지(gri 밴드 은하 이미지)와 정량적 물리량(질량, SFR, 적색편이 등)을 통합하는 AI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실험 중입니다. 이 연구는 단일 modality의 한계를 보완하고, 소수 클래스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feature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모델으로 설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AGILE 연구실에 참여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를 확장하고 싶습니다.
Cross-Attention 기반 멀티모달 Diffusion 모델 개발
→ 현재 이미지 + 메타데이터 구조에서 발전하여, 다중 modality 간의 조건적 생성 구조로 확장
Test-time Adaptation을 통한 도메인 불일치 극복
→ 관측 은하 데이터(실제 관측 이미지)와 시뮬레이션 데이터(TNG)의 도메인 간 차이를 줄이기 위한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기법 적용
AGI 지향적 과학 문제 해결 모델 설계
→ 인간이 수작업으로 구분하던 과학적 인지 문제(예: 병합 은하 탐지)를 AI가 일반화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representation learning + multi-task learning 기반 framework 실험
등
저는 제가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서는 끈기를 가지고 최선을 다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대한 끈기로 AGILE 연구실에서 좋은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긍정적으로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하..성적표
지원 완
면담
새벽 4시에 내고 잣는ㄷ
아침에 일어나 보니 답장이
발발
내일 두 시에 면담하기로 했다
발발
뻥튀기 한 거 공부해야지...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이 뭘까..
'기타 >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5summer 랩실 인턴 지원 계획! (0) | 2025.04.20 |
---|---|
Google Software Engineering Intern, Summer 2025 지원 (0) | 2025.04.12 |
프로메테우스 지원서 면접준비 (0) | 2025.02.16 |
이화여대 Euron 8기 모집 지원서 아카이브 (0) | 2025.02.15 |
프로메테우스 지원서 아카이브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