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웹 개발
정적 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API
🍃정적 컨텐츠
정적 컨텐츠! static

정적 컨텐츠 :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변경되지 않는 파일
- 예를 들어,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은 웹 리소스들
- src/main/resources 디렉토리 아래의 static 폴더에 파일을 위치시키면, Spring Boot는 자동으로 이 폴더의 내용을 웹 루트 디렉토리로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
🍃MVC와 템플릿 엔진
MVC 패턴
- 애플리케이션을 세 부분, 즉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분하여 관리
-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설계 패턴입니다.

- Spring에서는 이 패턴을 지원하기 위해 Spring MVC가 내장되어 있으며, Thymeleaf, FreeMarker 같은 여러 템플릿 엔진을 사용 가능!
🍃API

-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정의된 방법을 제공
- Spring에서는 RESTful API를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
- Spring Boot에서는 RestController를 사용하여 간단히 API 구축 가능
- 이 컨트롤러는 JSON, XML 같은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처리
'💾 Backend >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스프링 입문 : 프로젝트 환경설정 (0) | 2024.08.28 |
---|---|
🍃스프링🍃로드맵 - 1. 스프링 입문- ing... (0) | 2023.03.20 |
자바/스프링 공부 계획🐣 (0) | 2023.03.08 |
🧁스프링 부트 개념강의🧁 (0)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