ℹ️ 책정리
네트워크에서 링크 이용률(Link Utilization)을 향상시키는 두 가지 기술인 다중화(Multiplexing)와 압축(Compression)
ℹ️ 링크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기술
다중화 (Multiplexing)
- 여러 개의 기기가 하나의 전송 회선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 한 개의 인터넷 회선을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것
•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물리적 링크에 결합하여 전송하는 기술
• 하드웨어(Layer 1, 물리 계층) 기술
• 사용자가 아닌 링크 자체에 초점 (즉, 네트워크 토폴로지 관점에서 고려됨)
• 주로 WAN 환경(점대점 링크)에서 사용 (예: 라우터-라우터, 교환기-교환기 간 연결)
• 예제:
- •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각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슬롯을 가짐. (예: 동기식 TDM)
- •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 각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할당.
-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직교 주파수를 사용.
압축 (Compression)
•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서 더 많은 데이터를 같은 대역폭에서 전송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예제: 음성 압축(Voice Compression)
• TDMA(2G 이동통신)에서는 제한된 대역폭에서 더 많은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음성을 압축하여 전송.
ℹ️ 다중화(Multiplexing) vs.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이 둘은 비슷한 개념처럼 보이지만, 목적과 적용 계층이 다름.
다중화 (Multiplexing) |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 MAC) | |
계층 | 물리 계층 (Layer 1) |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 |
기술 유형 | 하드웨어 기반 (H/W) | 소프트웨어 기반 (S/W) |
사용 환경 | WAN (점대점, ex: 라우터-라우터) 1:1 (Point-to-Point) |
LAN (다중 지점, ex: 여러 사용자가 공유 매체를 이용) 다대일 (Multipoint-to-Point) |
사용자 고려 여부 |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음 (데이터 흐름을 하나의 링크에 결합) | 사용자를 고려함 (여러 사용자가 같은 채널에 접근할 때 충돌을 해결해야 함) |
예제 |
|
|
예제
• TDM (Multiplexing) vs. TDMA (Multiple Access)
• TDM: 하나의 링크에서 시간을 나누어 각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 (ex: WAN 환경에서 사용).
• TDMA: 여러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지만,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충돌을 방지 (ex: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
ℹ️ 네트워크의 두 가지 종류
WAN (Wide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
-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인터넷 자체가 WAN의 대표적인 예시
- 도시, 국가,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네트워크)
- 작은 범위(건물, 학교, 회사 등)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Wi-Fi 같은 사무실이나 가정 내 네트워크
- 이화여대 lan
WAN(광역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방식인 회로 교환(Circuit Switching, CS)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PS)
ℹ️ WAN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기술
회로 교환 (Circuit Switching, CS)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고정된 경로(Route)와 대역폭(Bandwidth)을 미리 예약하는 방식.
• 특징:
• 연결 설정 필요: 통신이 시작되기 전에 경로와 자원을 예약해야 함.
• 고정된 대역폭: 모든 사용자는 고정된 속도로 데이터를 보냄.
• 지연 없음: 데이터가 전송될 때는 큐잉(queueing)과 패킷 처리 지연이 없음.
• 비효율성 발생 가능: 사용자가 데이터를 보내지 않을 경우에도 대역폭이 낭비됨.
• 예제:
• PSTN(공중 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아날로그 전화 통신(3kbps 음성통신)
➡️ 단점:
•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도 대역폭이 낭비됨.
• 동적인 데이터 트래픽 처리에 적합하지 않음.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PS)
• 데이터를 작은 패킷(Packet) 단위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 특징:
• 연결 설정 불필요: 미리 경로를 예약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전송 가능.
•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라우팅됨 → 라우터가 매번 최적 경로를 결정.
• 라우팅이 필요함 → 전송 중 지연(delay) 및 패킷 손실 가능.
• 비동기식 TDM (Statistical TDM) 사용: 유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 예제:
• 인터넷 (IP 네트워크)
➡️ 장점:
• 대역폭을 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음.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비디오 스트리밍, 웹 브라우징)에 적합.
➡️ 단점:
• 패킷이 도착하는 순서가 다를 수 있음 (Out-of-order delivery).
• 패킷이 라우터에서 큐잉(Queueing)과 패킷 처리로 인해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회로 교환 (Circuit Switching, CS) |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PS) | |
연결 방식 | 사전 연결 설정 필요 | 연결 설정 없이 바로 전송 |
대역폭 | 고정 대역폭 할당 | 동적으로 대역폭 사용 |
데이터 전송 방식 | 모든 데이터가 한 경로로 전송됨 | 패킷 단위로 나눠 독립적으로 전송됨 |
전송 속도 | 일정 (고정 속도) | 가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름) |
지연 (Latency) | 낮음 (사전 설정된 경로) | 높음 (큐잉, 라우팅 필요) |
효율성 | 낮음 (유휴 대역폭 발생 가능) | 높음 (트래픽에 따라 자원 활용 가능) |
예제 | PSTN 전화망 | 인터넷(IP 네트워크) |
'📖 CS >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공학 퀴즈 1 (chap1/chap2) (0) | 2025.03.23 |
---|---|
정보통신공학 Chap 2 Protocol Architecture, TCP/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2) | 2025.03.23 |
정보통신공학 Chap 1.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 - 1 (0) | 2025.03.08 |
📲 정보통신공학 - Ch9. WAN 기술과 프로토콜 - 1. 교환통신망,2.패킷통신망 (1) | 2024.05.07 |
📡 정보통신공학- Ch2. Protocol Architecture, TCP_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2nd) (0) | 2024.04.16 |